계속되는 코로나로 인해 소상공인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점포를 가진 소상공인은 임대료에 부담이 커 더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소상공인에게 임대료를 깎아주는 '착한 임대인'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확대합니다.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50%에서 70% 확대
당정은 27일 국회에서 고위 당정 협의회를 열고 착한 임대인에 대한 세액공제 수준을 현행 50%에서 70%로 높이기로 결정했습니다. 내년 1월 임시국회에서 관련 세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착한임대인 세액공제란?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는 상가 건물주가 입주 소상공인의 임대료를 깎아주면 인하액의 50%를 소득·법인세에서 세액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낮춘 임대료의 절반을 세액공제로 돌려받는 것입니다.
당정은 세액공제를 70%로 확대하면 더 많은 임대인이 임대료 인하에 참여해 혜택이 소상공인에게 돌아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액공제 일정 소득 이하 적용
다만 당정은 세액공제율을 확대하되 '일정 소득 이하' 임대인에 대해서만 적용한다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일정 소득 기준은 '1억원 이하'가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소득세 과세표준으로는 8800만원 미만(최대 소득세율 24%) 구간입니다.
400만원 임대료의 경우
예시로 건물주 A가 400만원의 임대료를 받는 경우 평균 소득세율 40%를 적용하면 해당 임대료에 대해 내야 하는 소득세는 160만원입니다. A가 임대료를 절반인 200만원으로 내릴 경우 평균 소득세율 40%를 적용하면 세금은 80만원이 됩니다.
따지고 보면 인하액 200만원에 대해 현행 50%(100만원) 세액공제를 적용받아 오히려 20만원을 돌려받는 셈이 됩니다. 임대료를 내리지 않은 경우 세금(160만원)과 비교하면 180만원의 절세 효과를 얻는 셈입니다.
여기에 세액공제를 70%로 확대하면 A는 70%(140만원) 세액공제를 적용받아 60만원을 돌려받는 셈이 됩니다. 임대료를 내리지 않은 경우 세금(160만원)보다 220만원의 세금을 줄이는 셈입니다.
즉 임대료 200만원을 인하해 220만원의 세제 혜택을 받아 20만원을 환급받는 것입니다.
소상공인 금융지원책
정부는 임대료 현금 지원 등 재정 지원과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확대 등 세제 지원에 더해 소상공인 금융 지원책도 함께 준비했습니다. 특히 소상공인 임차료 부담을 추가로 덜기 위해 저금리융자자금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정책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신용등급 1000점 만점 신용점수제 전면전환 (0) | 2020.12.29 |
---|---|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아이디 패스워드 SEOUL_Secure 통합 (0) | 2020.12.29 |
2021년 산재보험료율 인하 저소득 특고 보험률 경감 (0) | 2020.12.29 |
외식쿠폰 할인 지원 배달 앱 4번 주문하면 1만원 할인 (0) | 2020.12.28 |
올해 연말정산부터 달라지는 것들 (0) | 2020.12.23 |
댓글